워드프레스 블루호스트 도메인 연결하는법 알려 드릴게요.
저는 블루호스트를 통해 워드프레스를 이미 하나 가지고 있었고 사이트 추가를 통해서 이번에 사이트를 하나 더 만들었는데요.
블루호스트 자체에서 도메인을 사서 설치하는 경우는 자동으로 워드프레스가 설치된후 바로 들어가서 사이트를 편집해 사용할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어 지던데요.
본인이 이미 가지고 있거나, 블루호스트란 자체 서버에서 사지 않은 타 업체 구매 도메인인 경우엔 따로 연결해 주는 작업이 필요하더라고요.
그래서, 같은 고민을 하는 분들에게 제가 한 방법이 도움이 될까 싶어서 간략하게 정리해 봅니다.
워드프레스 블루호스트 도메인 연결하는법 1: 네임서버 변경
워드프레스 블루호스트 도메인 연결하는법에는 네임서버 정보를 변경해서 워드프레스가 있는 블루호스트로 가도록 길을 안내해 주면 되는데요. 그 방법은 아래와 같이 진행하시면 됩니다.
- 일단 워드 프레스를 추가 하세요.
– 호스트 내(Blue Host 내 Hosting을 누르면 됨) : 이 방법은 저 같이 이미 블루호스트를 이용하고 있는 분에 해당할 것이고, 아직 없고 처음으로 블루호스트를 사용하려는 분은 세팅 과정에서 타 도메인 사용 체크란이 있을겁니다. - 도메인 구매업체 사이트에 들어가 네임 서버 변경을 해 주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엔 가비아만 경험했기 때문에 가비아를 기준으로 말씀 드릴게요.(하지만, 이런 과정은 다른 업체들도 대동소이할것으로 보입니다.)
– 가비아의 경우 ‘도메인 통합 관리틀’을 클릭하고 들어 가세요.
– 소유한 도메인이 쭉 나오는데, 하나만 있으면 하나만 뜨겠죠.
– 좌측 컬럼란에서 ‘도메인 정보 변경’을 누르세요.
– 변경하고 싶은 도메인에 체크 표시 한후, 위의 ‘네임서버’를 누르세요.
–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그럼, 위위 1차, 2차, 3차, 4차 표시가 있고 gavia.co.kr로 적혀 있는 것을 모두 지우고, 1차에 ns1.bluehost.com, 2차에는 ns2.bluehost.com이라고 적고 아래에서 소유확인을 누릅니다.
그럼 인증 절차(휴대폰 또는 메일)를 거쳐서 본인 확인이 완료되면 맨 아래 ‘적용’ 버튼을 누르시면 완료 됩니다.
완료되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적용했던 도메인 명과 블루호스트 서버이름인 ns1.bluehost.com 이 매칭 되었음을 표시하는 창이 뜹니다.

이 과정만 해도 되는데, 이렇게 하면 약 2일 정도 걸리는데요. 좀더 확실하게 하기 위해 A코드도 등록하면 좀더 빨리 될수도 있다고 해서 저는 A코드도 등록했어요.
워드프레스 블루호스트 도메인 연결하는법 2: DNS 레코드 수정
워드프레스 블루호스트 도메인 연결하는 법은 네임서버 정보 변경하는 방법 외에도 DNS 레코드 추가를 눌러 A코드를 등록하는 방법으로도 되는데요. 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마이 가비아를 클릭하고 들어가세요.
- 그러면, DNS 관리툴을 볼수 있는데, 그걸 누르세요.

위와 같은 화면을 적는 란에서 여기서 적는 방법은 타임은 ‘A’를 적고요, 값/위치에는 ‘블루호스트 워드프레스로 가는 IP주소'(블루호스트 ‘호스팅’ 컬럼을 누르면 기재돼 있음)를 복사해다 붙여 넣으면 됩니다.
그런데, 저 같은 경우는 호스트에 뭘 적을지 몰라 고민했는데요. 기존에 도메인에서 분파된 서브 도메인의 경우엔 예를 들어 본 도메인이 abc.com 일 경우 서브도메인인 a.abc.com을 연결할 경우엔 a만 적으면 됩니다.
하지만 본 도메인을 연결할 경우엔 blue host주소를 보면 맨 앞에 www.bluehost.com 인데, 맨 앞의 www를 붙여 주면 되더라고요.
정리
워드프레스 블루호스트 도메인 연결하는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시한번 정리해 보면, 블루호스트 서버는 사용하지만 블루호스트 자체도메인(대게는 이 방법 사용)을 사용하지 않고 본인 소유의 도메인을 연결해서 블루호스트는 그냥 서버만 사용하고 싶을때가 있을 겁니다.
이럴때 본인 도메인과 서버를 연결하는 방법을 한 곳에서 자세히 알아보기 쉽지 않습니다.
이럴땐, 네임서버 즉 도메인이 어느 서버를 통해 노출시켜라 하고 지정하는 거죠. 바로 그 지정을 해주는 네임서버 정보변경을 위의 첫번째 방법을 통해 해주시면 되고요.
좀더 확실히 그리고 둘다 하면 더 빠를지는 몰라도(A코드 등록 방법이 더 빠르다고 하는 분도 있음) 기왕이면 함께 해 두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나름 서버업체와 도메인 업체를 왔다 갔다 질문하면서 얻은 내용 이므로 유용할수도 있을 것입니다.
뭐든지 안해보면 모르는게 당연하지만, 막상 이런 작업들을 잘 모를땐 정말 난감합니다. 물론, 전화해서 물어보면 가장 쉽지만, 전화는 정상 근무시간에만 가능하니 휴일에 급하게 작업 하려면 쉽지 않습니다.
작은 부분일수 있지만 모르면 답답할수 있어, 저와 같이 이 부분이 쉽지 않으셨던 분들이라면 도움이 될거 같아 정리해 봤습니다. 감사합니다.